• Component


한 오브젝트의 property에서 tweenlinecomponent를 통하여 object의 움직임을 제어할수있음
종료방식에서 one round trip으로 하면 설정한 위치만큼 이동했다가 다시 돌아오고 끝
Repeat round trip으로 설정하면 계속 반복적으로 이동함.
선형운동방식을 통하여 운동방식을 바꿀수있음
오브젝트를 움직이고 싶으면 tweenlinecomponent사용!!

Tweencircularcomponent
오브젝트를 회전시키게 만듬 회전 반경, 각도 속도 제어가능

Tweenfloatingcomponent
폭을 설정하여 오브젝트가 위아래로 운동할수있게 하는 componenent Rigidbodycomponent
object에게 중력과 같은 물리엔진을 설정해주는 component임 이 component가 존재하지않는 오브젝트들은 중력의 영향을 받지않아서 공중에 떠있음
원점 정보가 다름에 따라 이상한 위치까지 떨어질때도있음.
Isblockverticalline기능을 통하여 블록의 접근성 또한 제어 할 수 있음.
Quarter view기능을 통하여 화면상에 떠서 움직이게 할 수있음 가속도들도 설정 가능(광장같은 맵에서 사용하면 어울릴거같음) Movement component를 이용해 이동속도와 점프력을 제어할수있음. 이 component를 없애면 이동이 불가능함.

기존에있는 trap entity들은 triggercomponent(충돌을 제어하는 component)가 없음 그래서 이 trap에 triggercomponent를 설정해준뒤 work space에 있는 my desk에서 create script>create component를 만들어준뒤 myplayer라는 component를 만들어주고 이 곳에


이런식으로 충돌했을때의 이벤트를 설정해주면 됨.

이렇게 설정하면 사용자가 아까 triggercomponent를 설정해줬던 trap이랑 충돌했을경우 충돌이라는 이벤트가 발생됨.
이때 아까 myplayer이라는 component를 설정해줬었는데 이 component를 사용자에게 적용해줘야하기 때문에 Defaultplayer에 꼭 이 component를 적용해줘야함.


충돌이 발생했을때 log를 통하여 서버에 충돌이라는 문자가 뜨는게 아닌 사용자가 trap과 닿았을때 닿은 방향 반대방향으로 5만큼 밀려나게 하기 위해 아까 물리엔진을 제어해주는 component인 rigidbodycomponent를 사용하여줄수도있음.

아까 학습했던 tweenlinecomponent를 활용하여 움직이는 trap들도 만들수있을거같음. Player component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력과 닉네임을 제어해줄수있는데
이때 아까 만들었던 trap에 닿으면 체력이 100이 깍이도록 설정해줄수도있음

-100으로하면 물체와 충돌했을때 체력 100이 깍임

또 다른 playercontrollercomponent를 이용하여 왼쪽으로부터 trap과 부딪혔을때 오른쪽으로 5만큼 튕겨지게하고 오른쪽으로부터 부딪혔을때 왼쪽으로5만큼 튕겨지게할수도있음.
또한 이 component를 이용하여 고정방향을 설정해줄수도있음.

'NEXON_SUPER_HACKA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D project 7 -NEXON  (0) 2022.07.19
MOD project 6 -NEXON  (0) 2022.07.15
MOD project 4 -NEXON  (0) 2022.07.15
MOD project 3 -NEXON  (0) 2022.07.13
MOD project 2 -NEXON  (0) 2022.07.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