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printing:
3d 모델링이 된것을 직접 물체로 출력하는 것임.
잉크대신 플라스틱을 씀. 플라스틱을 녹이는 기법으로 한층씩 쌓아가면서 물체를 만드는 방식으로 함.
3d모델링을 해서 만들고 이 만든걸 stl 확장자 파일로 저장해서 3d프린터에 넣어주면 물체가 만들어짐.
3d 프린팅 기술로 인하여 제조업의 구조가 바뀜. 프로토타이핑 과정에서 비용을 절감시킬수있었음.
질높은 시제품 제작이 가능해짐.
이 하이퍼 곡선은 해마다 항상 똑같음 이 곡선은 구간별로 해석을 해야함. 앞부분에 있는 기술들은 지금 막 등장해서 혁신적으로 새로운 기술들이 나오고 있는 구간이라고 보면됨. 피크 곡선은 한참 무르익어서 기술이 정점에 오르고 있다는걸 보여줌 내려가는 곡선은 거품이빠지는 시기라고 생각하면 됨 기술이 하락하는것이 아니라 거품이 일어났다가 정제되고 퀄리티있는것만들 살아남는 부분
맨 오른쪽 부분은 대중화되어서 기술들이 안정화단계에 이르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면됨.
process:
step1:
모델링하기
step2:
모델링한걸 레이어링을 할 수 있는 파일로 만들어(슬라이싱)
step3:
이 파일을 3d프린터에 넣어주면 적층방식으로 쌓아줌
step4:
쌓아주면 모델이 나옴
모델링:
무엇을 만들 것인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한 3D 모델링
설계 TOOL을 사용하여 직접 모델링하거나 3D스캐너를 사용하여서 만들고 싶은 물체를 스캔하는 방법(근데 이건 우리가 쉽게 쓸수있는 물건은 아님) , 기존 모델링 레퍼런스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음.
이렇게 모델링을 하는 방법에는 세가지가 있음. 근데 직접 우리가 만들고싶은걸 만들려면 1번이 가장 좋음.
슬라이싱:
모델링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서 슬라이서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을 통해 3D프린터 장비가 이해할수 있는 파일 형식으로 변화해줌.(STL파일)
프린팅:
STL파일로 변환된 데이터가 3D 프린터를 통해 출력됨.
피니싱:
출력된 오브젝트에 대해 후가공하여 완성하는 단계
시제품이기에 상품화되기 전단계이기 때문에 조금 미완임.
3d printing pen:
펜 형태로 3차원의 자유롭고 다양한 구조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방식
노즐과 모터만으로 간편하게 작동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형태
편리하여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플라스틱에 대한 유해물질에 대한 논쟁이 있긴함.
3d프린트 활용예시: 악세서리, 3d프린팅으로 여러사진찍어서 애니매이션 만들기, 초콜릿으로 3d프린팅 음식만들기, 바이오헬스(의수,의족),장기를 대신하기도함(이러한 장기를 대체하기위해선 딱딱한 플라스틱 대신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해야하는데 이게 최근에 나오기도함) 등등
4d프린팅: 3d프린팅한 물체가 스스로 변형하여 새로운 결과물을 만드는 기술
'physical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totyping (0) | 2023.04.08 |
---|---|
physical computing (1) | 2023.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