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x는 소프트웨어 개발하고 실행할수있는 편리한 플랫폼임 이건 쉽게 수정해서 컴퓨터에 적용할 수 있었음. 유닉스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운영체제 만들어짐.
c로 대부분 작성되어서 다른 컴퓨터에 적용 편했는데 이러한 유닉스 변형할수있는 언어인 c언어도 인기얻었음.
이러한 유닉스 수정해서 다른 컴에 적용하는 사례가 너무 많아져서 변형에 제한을 두는 POSIX라는 유닉스의 표준이 만들어짐.
그리고 얘네가 돈받아서 사람들이 화나서 GNU라는 운영체제 만들었는데 이때 커널이 완성이 안됐는데 리누스가 커널 하나 완성하게돼서 GNU가 이걸로 합쳐서 만들었는데 이걸 GNU/Linux라고부름 리눅스는 완전한 운영체제가 아니라 운영체제의 핵심부분인 커널에만 해당
Ubuntu, Red hat, CentOS, Debian이런 운영체제들이 다 Gnu/Linux를 변형해서 만들어진거임.
그냥 윈도우를 제외한 모든 운영체제는 유닉스에서 파생된거임.
이러한 유닉스 운영체제들은 유닉스커멘드를 사용하지만 윈도우는 윈도우 커멘드를 사용.
개발에서는 유닉스 커멘드 많이 사용 웹사이트 배포과정에서 사용
또한 ai서비스를 개발할때 성능이 좋아야해서 개인컴퓨터 말고 서버 컴퓨터 필요한데 서버 컴퓨터 사용할때도 유닉스 커멘드 사용됨.
윈도우 에서 유닉스 커멘드를 배우려면 컴퓨터에 Ubuntu를 사용하면됨.
WSL를 사용하기
가상머신 사용하기
두가지로 할수있음.
POWERSHELL의 관리자 모드를 사용하여 WSL을 사용가능.
역시 바로 에러발생 ㅋㅋㅋ
휴 다행히 2시간만에 에러 해결...